center '건강' 태그의 글 목록
loading
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봄이면 찾아 오는 불청객 '미세먼지'

미세먼지 미세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 입자로 입자 크기에 따라 직경 10 ㎛ 이하 (10 ㎛은 0.001 ㎝)인 것을 미세먼지(PM10)라고 하며 직경 2.5 ㎛ 이하인 것을 초미세먼지 (PM2.5)라고 합니다. 이들 먼지는 매우 작아 숨 쉴 때 폐포 끝까지 들어와 바로 혈관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. 미세먼지 발생 원인 미세먼지는 발생원에 따라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으로 구분되며, 인위적 발생원이 대부분입니다. 미세먼지 중 건강에 영향이 큰 PM2.5는 자동차, 화력발전소 등에서 연소를 통해 배출된 1차 오염물질이 대기 중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생성된 2차 오염물질이 주요 발생원이며, 주로 황산염, 질산염, 유기탄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세..

건강정보 2024. 3. 24. 15:49
텀블러의 검은물질? 연마제란 무엇인가?

환경을 생각해서 일회용 컵대신 텀블러를 사용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. 그런데 이 텀블러가 우리에게 안 좋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? 오늘은 텀블러가 우리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닦으면 나오는 검은 물질? 연마제 텀블러뿐만 아니라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진 그릇과 냄비등에서는 연마제가 검출됩니다. 이 연마제는 스테인레스 제품을 만들 때 광택을 유지시켜 주는 등 더 멋지게 만들어주는 탄화규소(실리콘카바이드)입니다. 탄화규소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해서 금속을 깎거나 부드럽게 다듬어주는 연마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. 이 탄화규소는 국제암연구소(IARC)가 지정한 발암성이 있다고 추정되는 물질 2A등급으로 규정된 물질입니다. 한마디로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의심받는 물질이므로 섭취가..

건강정보 2024. 1. 8. 15:57
미세먼지와 건강 관리법

건조한 겨울이 다가오면서 미세먼지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습니다. 12월 1일부터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은 수도권과 6대 특별, 광역시 운행이 제한되며 석탄발전소 가동이 중단되거나 제한되는 등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. 올겨울은 작년보다 미세먼지가 짙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이 되고 있습니다. 이번 시간에는 미세먼지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마스크 착용하기 미세먼지가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야 하지만, 그래도 외출을 해야 한다면 마사크를 착용을 하는 게 좋습니다. KF80 이상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좋은데, 초미세먼지가 일평균 76ug/ ㎡ 이상의 '매우 나쁨' 상태를 기준으로, KF80 마스크를 올바르게 착용하면 미세먼지 흡입을 80%나 막을 수 있..

건강정보 2023. 11. 26. 14:55
겨울철 건조증 관리방법

겨울은 신체가뭄의 계절입니다. 찬바람이 불고 건조한 날씨로 인해 우리 몸도 건조해지는 시기입니다. 눈과 코, 입, 피부까지 건조해져 건강을 위협하게 됩니다. 겨울철 건조해지면 나타날 수 있는 증사과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비강건조증 비강건조증이란 코 속이 마르고 건조해지는 것을 말합니다. 증상으로는 콧속이 건조한 느낌이 나고 가렵고 약간 타드는 듯한 느낌을 가져오고 코막힘, 심할 경우에는 코 점막이 손상되어 코피가 나고 후각능력이 저하됩니다. 주원인으로는 건조한 공기와 먼지가 많은 환경으로 인해 발병되기 쉽습니다. 발병 시에는 이비인후과 진료를 통해 코세척 민 점막관리를 위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. 예방방법으로는 식염수를 통해 코를 세척하여 콧속 이물질을 제거하고 코점막이 마르지 않게 관리..

건강정보 2023. 11. 5. 16:15
이전 1 2 3 다음
이전 다음

티스토리툴바

이메일: help@abaeksite.com | 운영자 : 아로스
제작 : 아로스
Copyrights © 2022 All Rights Reserved by (주)아백.

※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,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. 또한,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. 조회,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